1/17 페이지 열람 중
건축물의에너지절약설계기준 [시행 2008. 1. 11.][건설교통부고시 제2008-5호, 2008. 1. 11., 제정] (HWP 파일첨부)링크 :https://www.law.go.kr/행정규칙/건축물의에너지절약설계기준/(2008-5,20080111)츌처 : 국가법령정보센터
Q: 공동주택의 부대시설 면적이 500제곱 미만인 경우, 에너지절약계획서 평가 대상여부 확인A: 부대시설 면적이 500제곱 미만인 경우, 제3조5번③에 따라 에너지절약계획서 평가 대상이 아니며, 평가대상이 아닌경우, 제2조 1항에 따라 부위별 열관류율 기준 및 제 단열조치 일반사항에 대해 6조의 건축부분 의무사항을 만족해야합니다.▶에너지절약계획서 제출 예외대상▶건축물의 열손실방지[이 게시물은 톰TOM님에 의해 2023-04-06 21:39:08 자유게시판에서 이동 됨]
▶ 최근 인천광역시 녹색건축물 설계기준 (고시 제2021-451호), 공동주택 24000세대(전세대 84타입 기준)으로 검토했을 때 답변 드립니다.1.신재생용량 추가 설치로 공사비 증가- 100% PV로 적용시 인천시 기준의 1.4배의 태양광용량 필요, 공사비 증가 (약21억 증가)- 100% BIPV로 적용시 인천시 기준의 1.9배의 태양광용량 필요, 공사비 증가 (약63억 증가)* 22년도 태양광 공사비 기준- PV : 1kW당 공사비 250~300만원선- BIPV : 1kW당 공사비 750~950만원선 (어두운컬러는 보다 밝은…
지역별 녹색건축가이드 의무 취득 기준으로 대략 알수 있을까요?
[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-09-30 12:00:22 환경성선언제품에서 복사 됨][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-09-30 12:06:06 저탄소에서 복사 됨]
[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-09-30 12:00:22 환경성선언제품에서 복사 됨][이 게시물은 관리자님에 의해 2022-09-30 12:06:06 저탄소에서 복사 됨]